반응형
가운뎃점 빠르게 입력하기
작성하시는 문장이나 문서에 가운뎃점을 입력하셔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실텐데, 이번에 소개해드릴 방법을 사용하시면 빠르게 간편하게 가운뎃점을 입력하실 수 있답니다.
특수문자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, 굳이 한자 키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릅니다. 예를 들어, 지금부터 몇 분 전에 작성한 글인 '경기도 공공기관 중 출자·출연 기관의 연봉을 알아보자'라는 문장에도 가운뎃점이 포함되었습니다.
메모장이나 워드, 한글 등 각종 문서 작성 도구에 따라 가운뎃점 입력 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, 지금 소개해드릴 방법은 네 번의 클릭만으로 가운뎃점을 입력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입니다.
네 번의 클릭으로 가운뎃점을 빠르게 입력하는 방법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, 한자 키를 길게 눌러 가운뎃점을 입력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작성한 게시물의 제목인 "경기도 공공기관 중 출자·출연 기관의 연봉을 알아보자"에는 가운뎃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특히 사업 보고서나 문서 작성 시에는 가운뎃점을 자주 사용합니다.
가운뎃점 크기 비교 가운뎃점의 크기는 크게 두 가지 크기로 나뉘어집니다. 상단에 위치한 라지 사이즈와 스몰 사이즈가 있습니다. 한글에서는 가운뎃점 글자의 크기가 상단의 라지 사이즈와 스몰 사이즈로 나뉘어져 있습니다. 문자 기호로 가운뎃점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
가운뎃 점 크기 비교
가운뎃 점은 한글에서 기본적인 문장부호의 하나로, 두 글자 또는 문장 사이에 넣어 пау즈를 나타냅니다. 가운뎃 점 크기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.
1. 대(大)점
가운뎃 점 크기 | 모양 | 사용 방법 |
대(大)점 | · | 문장 내 또는 두 글자 사이에 넣어 пау즈를 나타낼 때 |
2. 소(小)점
가운뎃 점 크기 | 모양 | 사용 방법 |
소(小)점 | ․ | 두 번 겹쳐서 연이 바뀌는 것을 나타낼 때 |
가운뎃 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드실 수 있습니다.
- 키보드의 "글자키" + "자음키" 조합
- 메모장이나 워드프로세서에 입력 후 글꼴을 변경 (예: 가운뎃점)
- 유니코드 (·: U+315C, ․: U+314F)
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서 돌아서면 잊게됩니다. 저도 잊을 수 있기때문에 제 블로그에 기록해둡니다.
가운뎃 점 가능 프로그램으로
가운뎃점 생성 방법 가운뎃점(·)을 생성하려면 Alt 키를 누른 상태로 오른쪽 키보드에서 숫자 183을 입력합니다. Alt 키를 떼면 가운뎃점이 입력됩니다.
가운뎃점 생성 방법
가운뎃점은 숫자를 거꾸로 눌러서 만들 수 없습니다. 순서대로 눌러야 합니다.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.
Alt키를 누른 상태로 오른쪽 키보드 숫자 183을 누르고 Alt키를 떼면 가운뎃점이 생성됩니다.
즉, Alt + 183.
단축키를 외워두면 훨씬 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 같네요.
지금까지 컴퓨터 사용 시 키보드로 중간점을 입력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방향키나 마우스로 스크롤을 내려보시면 이렇게 중간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. Num Lock 버튼을 눌러 활성화시켜 주세요.
가운뎃점(·) 소개
가운뎃점은 문장부호 '·'로, 중점, 중간점, 가운데점으로도 불립니다. 가운뎃점은 글에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.
- 목록 항목 구분
- 단락 분리
- 강조
가운뎃점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릅니다.
- 특수 문자 목록이 나타납니다.
- 목록에서 가운뎃점 특수 문자를 선택합니다.
가운뎃점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.
- 목록을 나열할 때
- 단락을 분리할 때
- 중요한 내용을 강조할 때
가운뎃점을 올바르게 사용하면 글의 가독성과 명료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❌타 카페나 블로그에 글을 게재하실 경우 글 하단에 출처를 반드시 표시해 주세요. ❌
https://www.lovevlystar.co.kr/
뷰티풀코리아
건강/여행/패션/뷰티//뉴스 정보전달 당신의 뷰티풀 라이프를 뷰티풀 코리아가 응원합니다
www.lovevlystar.co.kr
반응형
'IT,스마트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PC 파일 관리: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 관리- 삭제 / 비활성 (0) | 2024.04.21 |
---|---|
엑셀의 기초 - 엑셀 표 간단하게 만들기 (0) | 2024.04.21 |
핑 테스트: 올바른 방법과 결과값 해석을 위한 가이드 (0) | 2024.04.14 |
M1 Pro 16인치 맥북의 단점: 배터리, 디스플레이, 입출력, 제어 요소 (0) | 2024.04.12 |
댓글